12일 전북도 감사관실은 도청 소속 공무원 5107명과 도시개발 등 협의부서 가족 614명, 전북개발공사 454명 등 모두 6175명에 대한 불법 토지거래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.
그 결과 개발 지구내 3명(3건), 주변 16명(26건)이 개인 불법거래로 의심됐지만 내부 정보 이용은 없었다고 판단했다.
실제 순창순화지구 관련 모 소방서 A직원이 지난 2000년 답 840㎡를 매입했지만 해당 지구가 2019년 개발된 점 등을 들어 내부정보 이용 가능성이 없다고 봤으며, 개발공사 직원 B씨의 경우 완주운곡지구와 연관된 답 1965㎡를 소유하고 있었지만 이는 지난 1993년 어머지로부터 상속받은 토지로 파악됐다.
완주 테크노밸리 조성 지역과 관련, 한 사무처 직원이 전업주부인 친누나의 권유로 완주군 둔산리 토지를 구매했지만 산업단지 지정 등의 내부정보를 접할 수 있는 부서와 직위가 아니라고 봤다.
이번 조사는 2014년 이후 도 지정 도시개발지구 5개소와 산업·농공단지 6개소 등 11개소에 대해 실시했다. 구체적으로는 도시개발지구인 익산부송4, 남원구암, 완주운곡, 순창순화, 완주삼봉, 산업·농공단지인 김제백구산업, 완주농공, 남원일반산업, 완주테크노밸리산업, 익산함열농공, 부안제3농공 등이다.
특히 도시개발 및 단지조성 부서의 경우 퇴직 공무원과 가족도 포함했다.
조사는 도시개발지구 및 산업·농공단지별 주변지역까지 확대해 토지거래 명부 파악에 집중했다.
도 김진철 감사관은 “이번 조사와 연계해 2014년 이후 전주시에서 승인한 천마, 역세권, 가련산, 교도소, 탄소산단, 여의 등 6개지구를 추가 조사할 예정이다”고 밝혔다.

eunsang7788@naver.com